pullwall
Well done! 코딩
pullwall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151)
    • 개발환경 (2)
    • java study (21)
    • 백준 단계별 (51)
    • 알고리즘 (3)
    • AI (43)
    • 클라우드 (3)
      • Kubernetes in Google (3)
    • 논문 (5)
    • 리눅스 (1)
    • AWS (4)
    • 수학 (15)
    • 기타 (1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  • 수학
  • 자바독학
  • dataset
  • pytorch
  • AWS
  • 선택정렬
  • 쿠버네티스
  • Java
  • 정렬
  • 백준 단계별
  • Google
  • 자바
  • Ai
  • 단계별
  • 알고리즘
  • 논문리뷰
  • LLM
  • 백준
  • 정렬알고리즘
  • Kubernetes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pullwall
AWS

[AWS] geeseFS로 S3와 EC2 마운트

AWS

[AWS] geeseFS로 S3와 EC2 마운트

2024. 3. 29. 11:34
728x90

GeeseFS | Yandex Cloud - Documentation

 

Yandex

Finds everything

yandex.cloud

Yandex에서 진행한 벤치마크에서 s3fs-fuse보다 geeseFS가 속도가 훨씬 잘 나와서 설치를 진행해 보고자 한다.

 

Install

AWS EC2 Ubuntu에 설치를 진행하였다.

sudo apt-get install fuse

wget https://github.com/yandex-cloud/geesefs/releases/latest/download/geesefs-linux-amd64

chmod a+x geesefs-linux-amd64

sudo cp geesefs-linux-amd64 /usr/bin/geesefs

 

AWS CLI 설치 후 진행할 것!

~/.aws/ 위치에 config 및 credentials 파일이 있어야 하는데 나는 디렉토리 자체도 존재하지 않았다. 아래의 명령어로 디렉토리가 생성된다.

sudo aws configure

 

~/.aws/credentials 에 아래와 같은 정보를 입력한다.

[default]
  aws_access_key_id=<key_ID>
  aws_secret_access_key=<secret_key>

 

 

 

Mount

geesefs가 default 값으로 endpoint를 자사 도메인으로 땡기기 때문에

나는 AWS S3와 EC2를 마운트 할 것이기 때문에 endpoint 옵션으로 이를 변경한다.

# geesefs <bucket_name> <mount_point>
sudo geesefs --file-mode=0666 --dir-mode=0777 --endpoint https://s3.amazonaws.com geesefs-test /geesefs

 

연결 확인

sudo df -h

 

728x90

'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AWS] NFS, s3fs-fuse 성능 테스트  (0) 2024.01.10
[AWS] EFS로 NFS 구성하기  (0) 2024.01.10
[AWS] s3fs-fuse 설치하기  (1) 2024.01.10
  • Install
  • Mount
'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• [AWS] NFS, s3fs-fuse 성능 테스트
  • [AWS] EFS로 NFS 구성하기
  • [AWS] s3fs-fuse 설치하기
pullwall
pullwall

티스토리툴바

단축키

내 블로그

내 블로그 - 관리자 홈 전환
Q
Q
새 글 쓰기
W
W

블로그 게시글

글 수정 (권한 있는 경우)
E
E
댓글 영역으로 이동
C
C

모든 영역

이 페이지의 URL 복사
S
S
맨 위로 이동
T
T
티스토리 홈 이동
H
H
단축키 안내
Shift + /
⇧ + /

* 단축키는 한글/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,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