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해당 게시물은 "혁펜하임의 AI DEEP DIVE"를 수강하고 작성되었습니다.
미분은 "순간 변화율" 이며 그래프에서는 "순간 기울기"이다.
x=1에서의 "순간 기울기" 라는 의미는 x=1에서 x=0.999 사이의 기울기도, x=1에서 x=0.99999999 사이의 기울기도 아닌 x의 변화율을 0에 초 근접 시킬 때 즉, 극한의 의미로 접근해야 한다.
x=1에서 x=Δx 까지의 기울기를 구하는데, Δx를 0에 초 근접(극한) 시키겠다는 것이다.
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limΔx→0f(1+Δx)−f(1)Δx로 나타낼 수 있고, 이것이 x=1에서의 "순간 기울기", "순간 변화율", "미분값" 이다.
위와 같은 방법으로 y=2x2의 미분값을 구하면 4x가 나오는데, 이와 같이 함수 형태를 띄면 이를 "도함수"라고 부른다.
이를 간단히 dydx로 나타낼 수 있으며, x=1에서의 미분값은 dydx|x=1과 같이 나타낸다.
논문에 간간히 등장하는 도함수의 성질은 아래와 같다.
- ex⇒ex
- limx⇒1x
- log2x⇒1ln2⋅1x
- f(x)g(x)⇒f′(x)g(x)+f(x)g′(x)
728x90
'수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테일러 급수 (5) | 2024.08.28 |
---|---|
편미분과 그라디언트에 대하여 (1) | 2024.08.28 |
극한과 입실론-델타 논법에 대하여 (2) | 2024.08.28 |
transpose와 dot product에 대하여 (4) | 2024.08.28 |
백터와 행렬에 대하여 (1) | 2024.08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