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ullwall
Well done! 코딩
pullwall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151)
    • 개발환경 (2)
    • java study (21)
    • 백준 단계별 (51)
    • 알고리즘 (3)
    • AI (43)
    • 클라우드 (3)
      • Kubernetes in Google (3)
    • 논문 (5)
    • 리눅스 (1)
    • AWS (4)
    • 수학 (15)
    • 기타 (1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  • Java
  • Google
  • AWS
  • Ai
  • dataset
  • Kubernetes
  • 논문리뷰
  • 알고리즘
  • pytorch
  • 단계별
  • 백준
  • 백준 단계별
  • 자바
  • 선택정렬
  • 쿠버네티스
  • 정렬
  • 수학
  • 자바독학
  • LLM
  • 정렬알고리즘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pullwall

Well done! 코딩

수학

확률 및 랜덤 변수

2024. 8. 29. 22:58
728x90
해당 게시물은 "혁펜하임의 AI DEEP DIVE" 를 수강하고 작성되었습니다.

"랜덤 변수"란 사건을 입력으로 받아 실수 값을 출력하는 함수이다.

 

사건을 실수 값으로 바꿨으면, 이후에 확률 함수를 거쳐 확률 값으로 바뀐다.

 

이 확률 함수에는 "확률 질량함수"와 "확률 밀도함수"가 존재한다.

 


1. 확률 질량함수 (Probability Mass Function, PMF)

확률 질량함수는 이산 확률 변수의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.

이 함수는 특정 값이 나타날 확률을 직접 제공한다.

즉, 확률 변수 $X$가 특정 값 $x$를 가질 확률을 나타낸다.

 

동전을 던질 때 동전이 앞면이 나올 확률은 0.5이고, 뒷면이 나올 확률도 0.5다. 이 경우 확률 질량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:

  • $P_X(X="앞면")=0.5$
  • $P_X(X="뒷면")=0.5$

여기서 $X$는 "앞면" 또는 "뒷면"이라는 값을 가질 수 있는 확률 변수다.

 

각각의 확률값은 당연하게도 0과 1사이의 값을 가지며, 그 총합이 1이다.

 

 

2. 확률 밀도함수 (Probability Density Function, PDF)

확률 밀도함수는 연속 확률 변수의 경우에 사용된다.

연속 확률 변수는 무한히 많은 값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, 특정 값에서의 확률은 0이 된다.

대신, 특정 범위 내에 있을 확률을 계산할 수 있다.

확률 밀도함수는 확률 변수가 주어진 범위 안에 있을 확률을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.

 

키가 160cm에서 170cm 사이에 있을 확률을 알고 싶다고 가정하자.

이때 키를 확률 변수 $X$라고 하고, $X$의 확률 밀도함수를 $f(x)$라고 한다면, $X$가 160cm에서 170cm 사이에 있을 확률은 다음과 같이 적분으로 표현할 수 있다:

  • $P(160\leq X\leq 170)=\int_{170}^{160}f(x)dx$

여기서 $f(x)$는 확률 밀도함수이며, $f(x)$의 값은 특정 $x$에서의 "밀도"를 의미한다.

이 밀도가 클수록 해당 값 주변에 확률이 집중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.

 

확률 밀도함수는 적분(밑넓이)값이 1이다.

728x90

'수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균등 분포와 정규 분포  (0) 2024.08.30
평균과 분산에 대하여  (0) 2024.08.29
그라디언트가 가장 가파른 방향을 향하는 이유  (0) 2024.08.29
테일러 급수  (5) 2024.08.28
편미분과 그라디언트에 대하여  (1) 2024.08.28
    '수학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균등 분포와 정규 분포
    • 평균과 분산에 대하여
    • 그라디언트가 가장 가파른 방향을 향하는 이유
    • 테일러 급수
    pullwall
    pullwall

    티스토리툴바